Skip to content

[table th=’1′ tf=’1′ border=’1px’ width=’100%’ class=’yay-a-table’]
1875| : |3월 26일 (음력 2월 19일). 황해도 평산군(平山郡)마산면(馬山面)능안골(陵안골)에서 이경선(李敬善)과 김해김 의 3남 2녀중 막내로 태어남;;

1899| : |1월 3일. 중추원 의관에서 파면됨.; 1월 9일. 박영효 등의 환제폐위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수배대상이었으나 미국인 의료선 교사 셔먼(H.C Sherman)의 통역을 위해 길을 나섰다가 별수검에게 체포됨.; 1월 30일. 주시경(周時經)을 통해 반입한 권총을 가지고 독립협회 동지 최정식(崔廷植)과 같은 방의 서상대(徐相大)와 함께 탈옥. 두 사람은 탈옥에 성공했으나 이승만은 다시 체포됨.; 2~3월. 기독교에 입교.; 3월 18일. 첫 공판.; 7월 10일. 제 2차 공판. 평리원 재판장 홍종우(洪鍾宇), 탈옥상해죄로 곤장 일백 및 종신 징역 선고. 한성감옥 수감.; 12월 13일, 22일. 잇달아 감(減) 1등의 특사(特赦)를 받음. 10년으로 감형.;;

1877| : |평산에서 서울 남대문 박 염동(鹽洞)으로 이사.;;

1880| : |어머니 김씨로부터 한문교육을 받음.;;

1881| : |낙동(酪洞)으로 이사. 퇴직대신 이건하(李建夏) 집 서당에 다니기 시작.;;

1885| : |도동(挑洞)의 우수현(雩守峴) 밑으로 이사. 앙녕대군의 봉사손 이근수(李根秀)의 집서당에서 한문공부;;

1887| : |처음으로 과거에 응시했으나, 낙방;;

1890| : |동갑인 음성 박씨(陰珹 朴氏)와 혼인.;;

1894| : |첫 응시 이후 과거에 수차례 낙방함. 과거제도의 폐지에 실망하고 칩거.;;

1895| : |봄. 신긍우 형제의 집요한 권유를 받아들여 배재학당 입학. 아펜젤러(G.G Appenzeller)를 비롯한 서양 선교사로부터 신학문을 배움. 특히 영어공부에 힘씀. 8월. 배재학당의 초급영어반 교사가 됨. 신긍우 형제 이외에 이충구, 윤열창, 이익채 등 개화를 주장하는 열혈청년들과 교유;;

1896| : |2월. 3개월 만에 서울로 돌아옴; 2월. 서재필(徐載弼)의 귀국환영회에 참석하여 서재필의 강연에 깊은 감동을 받고, 이후 배재학당에서 실시한 서재필의 연속특강을 통하여 세계지리, 역사, 정치학 등 서양학문을 깨우침.; 7월 25일(음력) 어머니 사망; 11월 30일. 서재필의 지도로 배재학당 안에 협성회(協成會)를 조직하고 서기로 선출됨;;

1897| : |7월 8일. 배재학당 졸업. 졸업식에서 “조선의 독립”이라는 제목으로 영어 연설. 졸업한 뒤에도 학교에 나와 초등반 영어를 가르치는 한편 협성회의 토론회 주관.;;

1898| : |1월 1일. <협성회주보> 창간에 찬여하고 주필을 맡음. 이후 신체시, 논설등을 발표.; 3월 10일. 서울 종로에서 열린 만민공동회 첫 집회에서 연사로 나섬.; 4월 9일 <협성회주보>를 바꾸어 <메일신문> 창간; 5월 14일. 제 6대 협성회 회장에 선출됨. <매일신문> 사장과 기재원을 겸직.; 7월 23일. 양홍묵(梁弘默) 등과의 알력으로 <매일신문>, 협성회에서 해임됨.; 7월 27일. 아들 태산(泰山) 태어남; 8월 10일. <제국신문> 창간에 참여하고 주필을 맡음.; 11월 5~23일. “헌의6조” (獻議育條) 시행을 촉구하는 만민공동회를 주도.; 1월 21일. 만민공동회 농성도중 보부상패에 습격당함.; 11월 29일. 새로 구성된 50명 중추원의 의관으로 선임됨.;12월 6일. 만민공동회 재개.; 12월 16 박영호(朴永孝)와 서재필을 대신으로 임명할 것을 건의하는 중추원 결의에 앞장섬.; 12월 25일. 독립협회의 해산과 함께 체포령이 내려 의료선교사 에비슨의 집으로 피신.;;
[/table]

[table th=’1′ tf=’1′ border=’1px’ width=’100%’ class=’yay-a-table’]
1908| : |7월 11~15일. 콜로라도 주의 덴버(Denver)에서 개최된 애국동지대표 회에서 의장으로 선출되어 회의 주재; 7월말. 스티븐스 암살사건 재판의 통역을 거절; 9월. 프린스턴대학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.;;

1920| : |3월 16일. 미 의회에 한국 독립승인안을 상정하나 부결됨.; 3월 22일. 상해 임시 의정원에서 ‘대통령 내도(來到) 촉구안’을 만장일치로 채택함.; 11월 15일. 하와이에서 네덜란드 시체운반선을 타고 밀항해 상해로 출발.; 12월 8일. 상해 도착.; 12월 28일. 상해임정청사에서 초대 대통령 취임식.;;

1909| : |8월. 석사학위 취득을 전제로 하버드대학 대학원에서 하계대학과정 이수.;;

1910| : |3월. 하버드대학에서 석사학위(M.A) 취득.;  2월. 로스앤젤레스 대동신서관(大同新書館)에서 <독립정신> 출판.;  3월 21일. 대한인 국민회(國民會) 가입.;  7월 18일. 프린스턴 대학에서 윌슨 총장으로부터 국제정치학 박사학위(Ph. D.)을 받음.;  7월 19일. 서울 YMCA에서 제의한 한국인 총무직 제의 수락.;  9월 3일. 귀국을 위하여 뉴욕에서 출발.; 10월 16일. YMCA의 한국인 총무겸 학감으로 활동 시작.;;

1911| : |5월. 모트(J.R. Mott)의 팸플릿 (학생청년회의 종교상 화합)을 번역 출판함.;  5월 16일~6월 21일.브로크먼과 함계 전국순회 전도여행. 귀로에 개성 한영서원(韓英書院)에서 열린 제 2회 전국학생하령회(全國學生夏令會) 주도 (이 하령회는 105인사건을 날조하는 빌미가 됨).; 10월. 모트의 팸플릿 <신입학생인도>, <학생청년회 회장>을 번역 출판함; 가을. 기호지방을 걸어서 2차 전도여행.;;

1912| : |2월. 프린스턴대학 출판부에서 박사학위 논문 <미국의 영향을 받는 중립>(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)이 간행됨.; 3월 19일. 감리교회 제 14기 평신도 회의에서 미네소타 주 미네아폴리스(Minneapolis)에서 열리는 국제기독교감리 회 4년 총회에 참석할 한국 평신도대표로 선출됨; 3월 26일. 다시 출국.; 5월 1~29일. 국제기독교감리회 4년총회에 참가.; 6월 19일. 쥬저지 주의 시거트(Sea Girt) 별장으로 윌슨 뉴저지 주지사 방문. 이후 두차례 더 방문함.; 6월~12월. YMCA의 주선으로 시카고, 프린스턴, 뉴저지, 워싱턴 등을 다니며 강연.; 8월 14~16일. 헤이스팅스의 소년병학교 졸업식에 가서 학생들을 격려하고 박용만과 진로문제를 협의함.; 11월 8일. 대한인 국민 회, 샌프란시스코에 중앙총회 설립.;;

1913| : |1월 28일. 하와이 국민회의 초청으로 하와이로 출발.; 2월 3일. 호놀룰루 도착. 아버지의 사망(1912.12.5)소식을 들음. 105인 사건을 다룬 <한국교회핍박> 집필.; 4월. 박용만이 사장인 신한국보사(新韓局報社)에서 <한국교회핍박> 발간.; 8월. 감ㄹ리교 선교부 감리사 와드먼(J.W. Wadman)의 제의로 한인기숙학교(韓人寄宿學校)의 교장직을 맡음.; 9월. 한인기숙학교를 한인중앙학교로 개칭하고, 남녀공학을 실시함.; 9월 20일. 월간종합지 <태평양잡지>을 창간.;;

1914| : |4월 23일. 하와이 한인 YMCA 결성을 위해 도쿄 조선 YMCA의 최상호(崔相浩)를 하와이로 초청하여 초대 총무직을 맡기고 자신은 회장직을 맡음.; 7월 29일. 호놀룰루에 한인여자학원 여학생 기숙사 설립.; 8월 29~30일. 박용만이 창설한 대조선국민군단 막사 낙성식에 참석하여 “믿음”이라는 주제로 강연.; 12월 19일. 하와이 국민회관 낙성식에 참가하여 연설.;;

1915| : |2월. 하와이 국민회 간부를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하와이 각 섬을 순회.; 5월 1일. 하와이 국민회 특별대의원회에서 재정문제를 둘러싸고 박용만파와 대결. 국민회의 재정권 장악.; 6월. 한인중앙학교 교장직을 사임.; 7월. 한인여자기숙사 옆에 있는 3.5에이커의 땅을 5천 달러에 매입하여 한인여학원 교사 신축.; 10월 30일. 한인여학원 신축교사 낙성식 거행. 하와이를 방문 중인 안창호와 박용만, 워드먼, 프라이 등이 참석하여 축사. 한국인 5명, 미국인 4명으로 이사회 구성하고, 법인 인가 받음.;;

1916| : |3월. 한인여자학원이 여학생 기숙사를 확장한 뒤 ‘한인여자성경학원’으로 계정.;;

1917| : |8월. 옥중에서 번역한 <중동전기본말>을 태평양잡지사에서 <청일전기>(淸日傳記)라는 제명으로 출판.;;

1918| : |2월 11일. 하와이 국민회 대의회에서 회계보고를 둘러싸고 이승만파와 박용만파 사이에 난투극이 벌어져 법정싸움으로 비화; 감리교 선교부와 결별하고 박용만과의 관계도 간절됨; 국민회의 서기와 제무와 <국민보>의 주필을 함께 맡음.; 7월 29일. 호놀룰루에 ‘신립교회’ 설립.; 9월. 한인여학원을 남격공학제의 한인기독학원(The Korean Christian Institute)으로 개편하여 개교.; 11월 8일. 호놀룰루 제일한인감리교회로부터 제적당함.; 11월 25일. 국민회 북미총회 임원 등 유지인사 회의에서 정한경(鄭翰景)과 함께 파리강화회의 대표로 선정됨.;;

1919| : |1월 22일. 로스엔젤레스에서 안창호를 만남.; 2월 3일. 필라델피아에 도착하여 서재필, 장택상(張澤相), 민규식 등과 독립운동 추진방략 협의.; 2월 25일 정한경이 작성해 온 윌슨 대통령에게 보낼 천원서(“위임통치안”)을 검토하고 확정함.; 3월 1일. 3.1 독립운동,; 3월 1~7일. 국무부와 백악관을 방문하여 윌슨 대통령과의 연담과 여권 발급을 교섭했으나 모두 거절당함.; 3월 10일. 서재필로부터 3.1 운동 소식 전해 들음.; 3월 21일. 노령 지역의 대한국민 의회 임시정부 수립이 선포됨. 대통령 손병회, 부통령 박영효, 국무총리 이승만으로 추대.; 4월 11일. 상해임시정부 의정원에서 이승만을 국무촐리에 추대. 국호 “대한민국” 제정.; 4월 13일.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선포.; 4월 23일. 13도 대표 서울에서 국민대회 개최, 한성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함. 집정관총재로 임명. 워싱턴에 ‘대한공화국’ (Republic of Korea) 활동본부 설치.; 5월 18일. <뉴욕타임스>에 항일 논설 게재.; 6월 14~27일. ‘대한공화국 대통령’ 자격으로 미*영*불*이*일 등의 정부 수반과 파리강화회의 의장에게 공문 발송. ‘Republic of Korea’의 첫 공식 사용.; 6월 27일. 국제평화회의 의장 조르주 클레망소에게 한국어 독립국임을 밝히는 전물을 발송함.; 7월 4일. ‘대통령 선언서’ 발표.; 8월 15일. 태평양잡지사를 통해 <대한독립혈전기> 발간.; 8월 25일. 워싱턴에 구미위원부 설치. 위원장 김규식.; 9월 1일. 김규식과 공동명의로 임시정부 독립공채 발매.; 9월 6일. 상해임시정부, 대통령제로 헌법 개정. 임시 대통령 이승만.; 10월. 필라델피아에서 9월에 열린 전체한인회의를 시작으로 약 8개월에 걸친 미국 각지 순회강연을 시작함.;;

[/table]

[table th=’1′ tf=’1′ border=’1px’ width=’100%’ class=’yay-a-table’]
1921| : |1월 5일. 상해임정에서의 첫 국무회의.; 5월 16일. ‘외교상 긴급과 재정상 절박’을 이유로 상해를 떠난다는 ‘고별교서’ 발표.; 6월 29일. 하와이 도착.; 7월 21일. 하와이에서 ‘대한인 동지회’ 발족 선포.; 10월 10일. 워싱턴 군축회의에 참석하는 미 대표에게 ‘한국독립청원서’ 제출.; 12월 28일. 워싱턴 군축회의에 이승만과 서재필을 비롯, 국내 13도 260군 대표와 각 사화단체가 서명한 ‘한국이민 태평양회의서’ 제출.;;

1940| : |11월 5일. 호놀룰루에서 해외 한인민족대회 개최.;;

1922| : |6월 17일. 상해임정 의정원, 이승만 불신임안 12 대 0으로 가결.; 9월 7일. 호놀룰루 귀한.; 9월 18일. 하와이 기독학원 새 교사 낙성식 거행.;;

1924| : |11월 23일. 대항인 동지회 종신총재로 추대됨.;;

1925| : |3월 23일. 상해임정의 심판위원회가 이승만 대통령의 면직안에 의결하고, 반은식을 임시대통령으로 선출.; 4월 10일. 상해임정 의정원, 구미위원부 폐지령 공포.;;

1930| : |12월 30일. <태평양잡지>를 <태평앙 주보>로 개청.;;

1932| : |11월 10일. 상해임정 국무회의에서 이승만을 국제연맹에 한국독립을 탄원할 전권대사로 임영.; 12월 23일. 국제연맹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뉴욕으로 출발.;;

1933| : |1월 4일. 국제연맹 본부가 있는 제네바에 도착.; 2월 7일. 한국독립의 주장을 담은 글을 국제연맹 회원국 대표들과 기자들에게 배포하고 각국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함.; 2월 21일. 제네바에서 프란체스카 도너와 첫 만남.; 7월 19~2일. 모스크바 방문.;;

1934| : |10월 8일. 뉴욕에서 25세 연화의 프란체스카 도너와 결혼.;;

[/table]

[table th=’1′ tf=’1′ border=’1px’ width=’100%’ class=’yay-a-table’]
1941| : |여름. 뉴욕의 플레밍 H. 레벨 출판사에서 태평양전쟁을 예견하는 <일본내막기>(Japan Inside Out) 출간하여 베스트셀러가 됨.; 4월 20일. 호놀룰루 ‘재미 한족연합위원회’ 발족. 위원장 임병직, 워싱턴 외교위원장 이승만.; 11월 28일. 임시정부,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회 설치. 위원장 이승만.; 12월 11일. 임시정부의 대일선정포고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을 요구하는 서한을 미 국무부에 전달.;;

1965| : |7월 19일. 호놀룰루 요양원에서 0시 36분 서거. 향년 90. 유해를 미 군용기로 김포공항에 운구. 정동 제일교회에서 영결 예배.; 7월 27일. 국립묘지에 안장.;;

1942| : |2월 25~3월 1일. 워싱턴에서 한미협의회와 재미 한족연합위원회가 공동으로 ‘한인자유대회’를 개최.; 2월 27일. 미국무장관 헐에게 신임장과 임정의 공한을 정식 제출.; 3월 23일. 헐에게 문서로 임정 승인 요청.; 6월 ‘미국의 소리(VOA)의 초단파 방송을 통해 몇 주 동안 한국 동포들에게 대일항전 촉구방송.; 10월 10일. 미국 전략사무처(OSS)의 굿펠로우 대령에게 한국인 특수부대인 항일 게릴라 조직 제의.; 12월 7일.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에게 서한 발송. “ 한국인을 훈련시켜 일본을 격멸시키는 데 미국의 도움을 받고 싶다”는 내용.;;

1943| : |5월 15일.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 명의로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임시정부를 승인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식 서한 발송.;;

1945| : |10월 16일. 33년 만의 귀국.; 10월 23일. 독립촉성중앙협의회(전국 65개 정당 단체 대표 200여 명)결성. 총재 이승만.; 12월 3일. 김구(金九)가 경교장에서 주재한 첫 국무회의에 이승만이 주미 외교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참석.; 12월 28일 임시정부 측, ‘신탁총치 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’ 설치.;;

1946| : |2월 8일.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신탁총치 반대 국민총동원위원회를 통합한 대한독립 촉성 중앙국민회의 총재직 수임.; 3월 20일. 제 1차 미*소공동위원회 개최되었다가, 5월 6일 결렬됨.; 6월 3일. 전북 정읍에서 남한 임시정부 수립과 민족주의 통일기관 설치 필요성 주장(정읍발언).; 6월 29일. 민족통일총본부 설치.; 9월 10일. 한국문제를 유엔에서 제기하도록 임영신을 유엔에 파송.; 9월 12일. 돈화문 앞에서 피격당함.; 10월 1일, 대구 폭동 발생.; 12월 4일. 남한 단독정부 수립 불가피론을 주창하기 위해 미국 방문.;;

1947| : |3월 12일. 트루먼 독트린 발표.; 4월 13일. 상해에서 장제스(蔣齐?)와 회담.; 7월 3일.. 좌우합작을 종용하는 하지 중장과 결별을 선언하고 민족자결주의를 표명함.; 9월 21일. 대동청년단 결성. 총재 이승만, 단장 이청천.; 10월 18일. 이화장 입주.; 11월 14일. 유엔 총회에서 한국 총선거안과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설치안이 가결됨. 1948년 3월 31일까지 ‘한국선거감독위원회’ 설치 및 독립정부 수립 후 7월 1일까지 미*소 양국 군대 철수.;;

1948| : |1월. 우엔 한국임시위원단 도착. 이승만, 김구, 김일성, 박헌영 등을 협의대상으로 선정.; 3월 12일. 김구, 김규식은 남한만의 총선에 불참하겠다고 공동성명을 발표함.; 4월 3일. 제주4*3 사건 발발.; 4월 19일. 김구, 김규식, 남북요인회의 참석차 방북.; 5월 10일. 남한에서의 총선 실시. 동대문 갑구에 출마하여 제헌 국회의원에 무투표 당선됨.; 5월 31일. 제헌국회 개회. 초대 국회의장으로 이승만, 부의장으로 신익희, 김동원이 선출됨.; 7월 1일. 국호를 ‘대한민국’으로 결정.; 7월 17일. 대한민국 헌법 선포. 국회에서 대통령, 부통령 선거. 대통령 이승만, 부통령 이시영.; 7월 24일. 초대 대통령 취임.; 8월 15일.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.; 8월 26일. 한*미 산호방위조약 체결.; 9월 7일. 반민족행위처벌법 국회 통과.; 9월 9일. 북한,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.; 10월 9일. 기자회견을 열어 미군 철수 연기를 요구함.; 10월 19일. 맥아더의 초청으로 일본 방문.; 12월 12일. 유엔총회에서 대한민국이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됨.;;

1949| : |5월 1일. 전국 첫 인구조사 실시. 남한 인구는 2,018만 명으로 집계됨.; 5월 20일. 남로당 국회 프락치 사건 발표.; 6월 6일. 반민특위 습격.; 6월 21일. 농지개혁법 공포.; 8월 8일. 이승만, 장제스 진해 회담.; 11월 26일. 남북통일방안 발표, 괴뢰정부 해체 후의 총선거 주장.; 12월 31일. 대통령 연말 기자회견에서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하고, 일본에 약탈문화제 반환을 요구함. 이후 이러한 요구는 60여 차례 이어짐.;;

1950| : |1월 12일. 애치슨 미 국무장관이 ‘애치슨라인’을 발표.; 4월 6일. 농지개혁 실시.; 6월 16일. 북한이 김상룡, 이주하와 조만식을 교환할 것을 제의함.; 6월 17일. 덜레스 미 국무장관 내한. 극동방위계획에 한국도 포함시킬 것을 요청함.; 6월 25일. 한국전쟁 발발.; 9월 15일.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개시.; 9월 28일. 부산에 피란해 있던 정부의 서울 환도.;;

1951| : |1월 4일. 중공군의 참정으로 1*4 후퇴.; 3월 24일. “한* 만 국경까지 진격할 것이며, 그 전에는 정전불가” 담화 발표.; 6월 28일. “승패 결정 전에는 화평보다 죽음을 원한다”는 정전문제에 대한 결의 표명.; 7월 3일. 미 대통령에게 휴전협상 반대 전문 발송.; 7월 10일. 제 1찬 휴전 본회담이 개성에서 개최.; 9월 20일. 중공군 철수, 북한 무장해제, 유엔 감시하 총선거 등 휴전수락 4대원칙 제시.; 11월 19일. 자유당 창당. 총재 이승만.;; 

1952| : |1월 9일. 평화선(‘이승만 라인’) 선포.; 5월 25일. 부산 정치파동.;7월 4일. 발췌 개헌안 통과.; 8월 5일. 직선제 정*부통령 선거. 제 2대 대통령 이승만, 제 3대 부통령 함태영 당선.; 12월 2일. 아이젠하워 미 34대 대통령 방한.;;

1953| : |1월 5일. 일본을 방문하여 요시다 총리와 만나 한*일 관계 개선 가능성 협의, 독도 영유 재확인.; 4월 11일. 휴전반대 단독북진 성명.; 6월 18일. 반공포로 전격 선방 발표.; 7월 12일. 로버트슨 미 대통령 특사와 한미회담 공동성명 발표. 한*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합의.; 7월 26일. 한국전쟁 정전협정 조인.; 10월 1일. 한*미 상호방위조약 조인.;; 

1954| : |7월 25일. 미국을 방문해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회담. 미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33번의 박수를 받음.; 11월 29일. 제 2차 개헌(‘사사오입 개헌’) 통과.;;

1955| : |8월. 한국인 일본 왕래 금지, 대일 무역 중지. 국제통화기금(IMF)에 가입.;;

1956| : |2월 3일, 원자력의 비군사적 이용에 관한 한미 협력을 위한 협정 체결.; 3월 5일. 자유당 전당대회. 정*부통령 후보에 이승만, 이기붕 지명.; 3월 9일. 전국 각지에서 이승만 3선 호소 궐기대회.; 3월 25일. 공보실 통해 재출마 결의 담화 발표.; 5월 15일. 제 3대 대통령 선거 실시. 대통령 이승만(자유당), 부통령 장면(민주당) 당선.; 8월 15일. 제 3대 정*부통령 취임.;;

1957| : |3월 26일, 이기붕의 장남 이강석을 양자로 입적.;;

1958| : |2월 11일. 원자력법안 확정. 원자력원 설치.; 12월 24일. 국가보안법 여당의원 단독으로 통과. 국가보안법 파동.;;

1959| : |11월 26일. 민주당, 정*부통령 후보자 지명대회. 후보 조병옥, 장면.;;

1960| : |3월 15일. 3*15 부정선거.; 4월 15일. 경제개발 3개년 계획이 국회에 제출됨.; 4월 19일. 4*19 혁명 발발.; 4월 24일. 자유당 총재 사임.; 4월 27일. 대통령직 사임서 국회에 제출.; 5월 3일. 국회에서 대통령 사직 및 4대 대통령 당선 사퇴 발표.; 5월 9일. 정계 은퇴 성명.; 5월 29일. 하와이로 출국.; 6월 15일. 제 3차 개헌(내각책임제) 통과. 제 2공화국 출번.; 8월 12일. 윤보선이 제 4대 대통령 당선.; 8월 19일. 장면이 제 2공화국 총리에 피선.; 8월 23일. 장면 내각 탄생.;;

1961| : |양녕대군 종중에서 인수(仁秀)를 양자로 천거하여 입적시킴.;;

1962| : |3월 17일. 본국 정부의 반대로 귀국 좌절.;;

[/table]

출처 : 이 승만 건국 대통령 연보 (오인환 지음) – (2015:이승만의 삶과 국가, p.623-639)

Back To Top